4월에 지나가는 유성우, 리리드(Lyrids)
리리드(Lyrids)는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는 유성우의 하나입니다. 이 유성우는 매년 4월 중순에 발생하며, 근처에 위치한 별자리인 백조자리(Cygnus)와 관련이 있습니다. 리리드 유성우는 매년 많은 수의 유성이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며, 이는 밝은 별들이 있는 밤하늘에서 아름다운 광경을 선사합니다.
리리드 유성우는 2,6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유성우는 천체의 붕괴와 우주 먼지의 충돌로 인해 발생됩니다.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오는 작은 우주 먼지와 함께 원반 형태로 들어오면서, 지구 대기권과 마찰하며 마찰 열로 인해 발광합니다. 이런 현상은 일반적으로 "별똥별"이라고 불리는 것과 동일한 원리로 발생됩니다.
리리드 유성우는 극좌표에서 매년 4월 중순에 최고조를 이루는데, 이때 1시간당 약 10개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우며, 몇 년 동안은 1시간당 20개 이상의 유성을 볼 수 있을 때도 있습니다.
리리드 유성우의 이름은 백조자리의 라디오 소스인 "리리드 라디오 방출"(Lyman Alpha radiation)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라디오 소스는 백조자리 내부에 존재하는 수소 가스 구름에서 방출되는 라디오 파장입니다. 이 방출은 19세기 후반에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지오바니 슈안파렐리(Giovanni Schiaparelli)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후 이 방출과 관련된 리리드 유성우가 발견되었습니다.
리리드(Lyrids) 유성우를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최적의 시간: 리리드 유성우는 매년 4월 중순부터 말까지 발생하며, 4월 22일경이 최대 발생량을 보입니다. 따라서 최적의 관측 시간은 이 기간 중 어느 날 밤이나 4월 22일 밤입니다.
장소: 가능하면 어둡고 조용한 장소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교외나 산중턱 등, 인공조명이 적은 장소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에 적응: 가능하면 어두운 장소에서 눈에 적응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눈에 적응하면 보다 많은 유성우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방향: 리리드 유성우는 하늘의 동쪽에서 나타나며, 하늘을 향해 뒤돌아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장비: 특별한 장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가능하면 어둡고 조용한 장소에서 매우 밝은 플래시 없이 카메라를 사용하여 유성우를 촬영할 수 있습니다.
기다리기: 유성우는 무작위로 나타나기 때문에, 기다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한 오랫동안 관측하고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단계를 따라하면 리리드 유성우를 쉽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리리드(Lyrids) 유성우를 관찰하기 좋은 장소
한국에서 리리드 유성우를 관찰하기 좋은 장소는 다양합니다. 하지만, 어둡고 인공조명이 적은 장소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교외나 산중턱 등, 도시 밖의 어두운 장소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는 한국에서 리리드 유성우를 관찰하기 좋은 몇 가지 장소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지리산 국립공원: 전남 고창에 위치한 지리산 국립공원은 어둡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어, 리리드 유성우 관측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설악산 국립공원: 강원도 속초와 양양에 걸쳐 있는 설악산 국립공원은 어둡고 인공 조명이 적은 산지로 유명합니다.
한라산: 제주도의 한라산은 어둡고 조용한 산지로, 리리드 유성우 관측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남해군 밤바다: 남해군의 밤바다는 인공 조명이 적고 어둡기 때문에, 리리드 유성우 관측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위의 장소들은 리리드 유성우를 관찰하기 좋은 장소 중 몇 가지입니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인공조명이 적고 어둡고 조용한 곳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랑 별보러 갈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이 폭발하면서 일어나는 아름답지만 무서운 우주 현상, 초신성 (0) | 2023.04.21 |
---|---|
뱃사람들의 길잡이인 북극성, 폴라리스별 (0) | 2023.04.18 |
거위를 물고 있는 여름철 별자리, <여우자리> (0) | 2023.04.09 |
페르세우스자리와 함께 가을철 대표 별자리인, <안드로메다자리> (0) | 2023.04.09 |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가 있는 겨울철 별자리, <큰개자리> (0) | 2023.04.08 |
댓글